투고규정 다운받기 

『현장수업연구』 투고규정

2019년 8월 제정


제1조(학술지의 특성 및 목적) 본 학술지는 초중등학교 및 대학의 교육현장에서 교사, 강사, 교수 및 예비교사들이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담당하는 각종 수업 및 강의에 관한 논문을 출판함으로써 가르침과 배움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2조(투고 내용)

2.1. 현장수업에 관한 논문: 초ㆍ중등교육의 수업 및 대학의 강의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 교수법, 평가 등에 관한 연구내용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이공계, 자연계, 인문사회, 예술체육, 농생명 분야, 환경생태, 융복합 분야 등 각 학문 분야와 교양교육에서 대학 강의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사례 및 단행본을 해석하여 비평하는 내용도 실을 수 있다. 그 외에도 산업체의 기업교육원, 평생교육원, 학원을 포함한 각종 교육현장에서 수업과 강의를 다룬 내용을 비롯하여 서당, 향교와 서원 등 전통 교육기관에서의 교학상장(敎學相長)에 관한 내용도 투고할 수 있다.

2.2. 수업 유형에 관한 연구 내용: 대학 교양강의,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의 전공강의를 다루는 사례를 비롯하여 사범대를 비롯한 교원 양성 기관에서 개설된 각종 수업 (교직, 교과교육, 전공 강의 등)에 관한 내용을 다룰 수 있다. 또한 수업에 대한 내용, 양적 및 질적인 자료 분석을 혼합하는 연구와 예비교사의 수업 실천(수업지도안, 마이크로티칭, 과외/학원 수업 경험 등)에 대한 내용을 소개할 수 있다. 산업체 현장을 비롯한 수업과 평생교육 강좌를 비롯하여 초등과 중등수업에 대한 내용, 영재수업 포함, STEAM 융합 수업, 자유학기제 수업, 일대일 멘토링, 각종 현장에서 진행되는 수업 등이 본 학술지의 투고 대상이 된다.

2.3. 수업연구에 관한 연구 방법: 수업/강의에 관한 실태조사, 각종 교수법(협동학습 활용 수업, 자기성찰학습 활용 수업 등), 사례연구, 실행연구, 자기연구, 자문화기술지, 자서전, 예술기반연구, 내러티브 탐구, 담화분석/대화분석, 수업비평, 내용분석, 비디오 연구, 파랑새 적용 질적 분석 사례, 근거이론, 현상학적 방법, 문화기술지, 온라인 강의, MOOC 강의, 수업 개선 관련 정책 연구 등 수업지도안/강의계획서 분석, CQI 보고서/티칭 포트폴리오 분석 등을 포함한다.


제3조(투고 규정)

3.1. 투고 내용은 타 학술지에 발표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또한 본 학술지와 다른 학술지에 동시에 투고할 수 없으며, 연구내용의 전부 혹은 핵심이 이미 게재된 논문을 중복 투고할 수 없다.

3.2. 투고자는 매 호당 최대 2편까지만 투고할 수 있다.

3.3. 논문투고 마감은 발간일로부터 약 2개월 전(5월 10일, 11월 10일)을 원칙으로 하며, 필요시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마감일을 최대 10일까지 연장할 수 있다.

3.4. 투고 논문은 한글과 영문 중 선택하여 작성할 수 있다.

3.5. 투고 논문은 학회 홈페이지에 탑재된 논문투고원본 파일(한글 원고일 경우 현장수업연구.hwp, 영문 원고일 경우 LSEF.doc)로 작성한 후, 논문 투고 온라인 시스템을 통하여 제출한다.

3.6. 본 학회는 심사위원이 투고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지 않은 익명상태에서 논문을 심사한다. 따라서 투고하는 원고에는 저자명이나 소속을 기재하지 않는다.

3.7. 본 학술지는 연구자로서의 윤리를 준수하기 위해 연구자가 수행한 사항을 투고 논문에 명시하도록 적극 권장한다.

3.8. 투고자는 심사위원의 심사결과를 받은 후, 2주 이내에 수정본과 답변서를 제출한다. 만일 한 달 이내 수정본과 답변서를 제출하지 않는 경우, 자동적으로 심사 과정에서 탈락된 것으로 처리한다.

3.9. 본 학회지에 기존에 투고하여 '게재불가'로 최종 판정된 논문은 제목과 내용의 전반적인 수정 없이 재투고할 수 없다.

3.10. 투고 규정에 따르지 않는 경우 및 원고의 오류로 인한 문제는 그 책임이 투고자에게 있다.


제4조(편집 규정)

4.1. 논문제목, 요약 및 주제어, 저자정보(최종 출판 시)는 국문과 영문을 모두 표기한다. 단, 영문 논문은 영문으로만 작성한다. 국문 요약은 200-250단어 분량으로 서론 앞에 쓰며, 8단어 이내의 주제어를 명기한다. 영문 abstract은 200-250단어의 분량으로 국문 요약과 내용을 가능한 한 일치시키며, 원고의 맨 뒤에 첨부한다.

4.2. 편집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다.

4.2.1. 용지는 A4 세로로 한다.

4.2.2. 여백은 위 20mm, 머리말 15mm, 왼쪽 및 오른쪽 30mm, 제본 0mm, 꼬리말 15mm, 아래쪽 15mm로 한다.

4.2.3. 제목 번호는 다음과 같이 붙이며, 글자모양 및 정렬은 다음과 같다.

1단계: Ⅰ, Ⅱ, Ⅲ (신명조, 15pt, 장평 90, 볼드, 가운데 정렬)

2단계: 1, 2, 3 (신명조, 12pt, 장평 90, 볼드, 왼쪽 정렬)

3단계: 가, 나, 다 (신명조, 11pt, 장평 90, 볼드, 왼쪽 정렬, 들여쓰기 10pt)

4단계: 1), 2), 3) (신명조, 11pt, 장평 90, 볼드, 왼쪽 정렬, 들여쓰기 20pt)

5단계: 가), 나), 다) (신명조, 11pt, 장평 90, 볼드, 왼쪽 정렬, 들여쓰기 30pt)

6단계: 번호없음. (신명조, 11pt, 장평 90, 볼드, 왼쪽 정렬, 들여쓰기 40pt)

4.2.4. 요약 및 본문 내용은 신명조 10.5pt, 장평 90, 줄간격 170%, 들여쓰기 10pt로 한다.

4.2.5. 기타 세부사항은 학회 홈페이지의 논문투고 원본 파일(JFLS.hwp)을 참고한다.

4.3. 참고문헌 형식은 다음과 같다.

4.3.1. 본문 내의 참고문헌의 인용

저자가 1인부터 3인의 참고문헌 인용은 전영국과 최원호(2018) 또는 (전영국, 최원호, 2018), Wang, Lee, & Young(2014) 또는 (Wang, Lee, & Young, 2014)와 같이 표기한다.

저자가 4인 이상일 경우 참고문헌 인용은 전영국 등(2018) 또는 (전영국 등, 2014), Wang et al.(2014) 또는 (Wang et al., 2014)와 같이 표기한다. “등” 대신 “외”를 사용할 수 있으나, 문서 전체에 일관적으로 표기한다.

4.3.2. 참고문헌

국내 참고문헌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책 또는 학위 논문의 경우에 제목을 진하게 표시한다. 그리고 학술논문의 경우에 논문제목, 논문집 이름(권 포함, 호수 제외)은 진하게 표시한다.

최원호, 전영국(2020). 비대면 온라인 수업 사례 고찰: 동영상 녹화 및 실시간 화상 수업 중심으로, 현장수업연구, 1(2), 1-28.

김영희(2013). 현장 활동에 토대를 둔 대학 글쓰기 교육― 인터뷰와 참여관찰 등 질적 현장 연구 방법론을 응용하여. 교양교육연구, 7(3), 483-540.

허희옥, 강의성, 소원호(2016). 컴퓨터교육 전공 수업에 적용된 학습성찰의 효과.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5), 11-25.

전영국(2019). 면담과 심층면담을 활용한 질적 연구의 수행. 아카데미프레스.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강윤수 외 (역) (2005). 정성연구방법론과 사례연구. 서울: 교우사.

전북도민일보(2020). 비대면 온라인 수업과 대학의 어려움. http://www.domin.co.kr. (2020. 6. 27. 검색)

영문 참고문헌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책이나 논문집 이름(권 포함, 호수 제외)은 이탤릭으로 표시한다.

Macaro, E. (2015). English medium instruction: Time to start asking some difficult questions. Modern English Teacher, 24(2), 4-7.

Danielson, C., & McGreal, T. L. (2000). Teacher evaluation: To enhance professional practice. Association for Supervision & Curriculum Development.

Westbury, I., Hopmann, S., & Riquarts, K. (Eds.) (2000). Teaching as a reflective practice: The German Didaktik tradi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Witz, K. (2008). The self of the investigator in research with human beings. In B. Jegatheesan (Ed.), Access, a zone of comprehension, and intrusion (pp. 165-185). Bingley, UK: Emerald Publishing.

Irwin, R. L. (2003, April). Curating the aesthetics of curriculum/leadership and/or caring for how we perceive walking/guiding the course. A paper presented at the Curriculum and Pedagogy Institute,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Alberta.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2008). Biofuels. Retrieved August 24, 2010, from http://www.nrel.gov/learning/re_biofuels.html.

4.4. 본문 내용을 보충 설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원고 하단에 각주 형식으로 첨가한다. 첫 페이지의 교신저자 정보나 연구비 수혜여부 등의 정보는 *, **, ***, ... 로 최종 출판 시 표기한다. 본문의 경우 1), 2), 3), ...로 표기한다.

4.5. 표와 그림은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4.5.1. 표를 작성할 때, 한글워드프로세서의 표 만들기 기능을 이용하며, 가능한 한 표의 가로 선만 나타나게 작성한다.

4.5.2. 표의 윗선과 아랫선은 두꺼운 줄(0.4mm)로 하며, 두 줄 선은 사용하지 않는다.

4.5.3. 표, 그림은 본문의 적절한 곳에 배치한다.

4.5.4. 표와 그림에는 일련번호를 붙이되, 표에는 < >, 그림에는 [ ]과 같은 괄호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예: <표 1>, [그림 1])

4.5.5. 표, 그림은 크기를 조정하여 인쇄할 수 있도록 선명하고 완벽해야 한다.

4.6. 논문 한 편의 분량은 투고원고 용지 20-30매 내외를 원칙으로 한다.

4.7. 본 투고규정에서 명시하지 않은 기타 사항은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9)의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을 따른다.


부 칙

본 규정은 2019년 10월 15일부터 적용한다.